💻 Backend

재해복구 시스템(Disaster Recovery System)

date
Dec 10, 2023
slug
GDG-Songdo-Backend2
author
status
Public
tags
Conference
summary
[GDG-Songdo-Backend] 재해복구 시스템(Disaster Recovery System)
type
Post
thumbnail
category
💻 Backend
updatedAt
Dec 11, 2023 03:16 PM
 

 
 

김민정 / 디제스터 리커버리 (Backend)

⏰14:10
 

용어

DRS(Disaster Recovery System)
Disaster Recovery System
RPO(Recovery Point Objective)
서비스 데이터를 복구할 때 어느 시점까지 복구할지에 대한 목표
RTO(Recovery Time Objective)
시스템을 복구하고 시스템 복원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
 

재해 복구의 구성요소

  1. 위험 평가
  1. 비즈니스 영향 분석
  1. 백업 시스템 및 데이터
  1. 오프사이트 데이터 저장
 

DRS의 사례

  • 카카오
    • 화재로 인해 판교 데이터센터 마비
  • 한국투자증권
    • 폭우로 HTS(홈 트레이딩 시스템), MTS(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)을 비롯해 홈페이지 마비
 

DRS의 복구유형

복구 시간/범위 정도에 따라 미러 사이트, 핫 사이트, 웜 사이트, 쿨 사이트 4가지로 나눌 수 있다.
  1. 미러 사이트(Mirror Site)
    1. 동일한 수준의 DR 센터를 Active 상태로 구축해 실시간 동기화로 운영하는 방식
  1. 핫 사이트(Hot Site)
    1. 동일한 수준의 DR 센터를 Standby 상태로 구축해 재해 발생 시 Active 하는 방식
  1. 웜 사이트(Warm Site)
    1. 동일한 수준의 DR 센터를 구축하되 중요도가 높은 데이터만 DR 센터에 부분적으로 저장하는 방식
  1. 쿨 사이트(Cool Site)
    1. 데이터만 원격지에 보관하고 서비스를 위한 정보자원은 확보하지 않거나 장소 등 최소한으로만 확보하고 재해 발생 시에 데이터를 근간으로 필요한 정보자원을 조달하여 복구하는 방식
 

재해복구 시스템의 위치선정

  • 원거리
    • 재해대응력 UP
    • 관리용이성 DOWN
    • 통신비용 등의 관리비용 UP
  • 근거리
    • 재해대응력 DOWN (재해 구역이 겹칠 수 있음)
    • 관리용이성 UP
    • 통신비용 등의 관리비용 DOWN
 

참고링크

 
 

 

Comment

 
DRS는 카카오 이슈로 엄청 크게 화제가 되었었는데, 그 이후 다시 관심을 놓고있었다. 당장 요즘 실무에서 공부해야할 게 산더미(..언제나…)여서 신경쓰고 있지 않던 요소기도 했다.
해당 세션을 통해 DRS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다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요소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.
다만 기사만의 사례들과 많이 대략적인 아키텍쳐 그림이 있었는데.. 실질적인 아키텍쳐 예시가 있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!